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Tags
- sql index
- SQL
- jdbc bulk insert
- mssql bulk insert
- MSSQL INDEX
- MSSQL 인덱스
- annotation
- MS-SQL
- mssql 대용량 데이터
- 어노테이션
- mssql insert
- 윈도우함수
- 포인터
- 자바 어노테이션
- c#
- lag
- select count
- sql insert
- SQLite
- 테이블용량조회
- 자바
- SQL Server
- solvesql
- jtds
- mssql 대용량 데이터 insert
- Java
- jdbc
- C++
- MSSQL
Archives
- Today
- Total
Basic Byte Bites
스프링 어노테이션 @ModelAttribute vs @RequestBody 본문
@ModelAttribute와 @RequestBody모두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어노테이션이다.
@ModelAttribute의경우 HTTP의 요청파라미터(URL에 노출되는 GET방식 쿼리파라미터, POST방식으로 전송되는 Form)를 다룰때 사용
@RequestBody의경우 HTTP Body의 데이터를 객체로 변환하는데 사용한다. 주로 API JSON형태의 요청을 다룰 때 사용
스프링 검증어노테이션
@Validated 사용시 유의사항
@ModelAttribute는 필드(예를들어 DTO 멤버 변수)단위로 데이터가 바인딩된다. 어떠한 필드가 타입오류(Integer를 입력해야하지만 String입력값이 넘어옴)등으로 바인딩 되지 않아도 나머지 필드는 정상적으로 바인딩이되고, @Validated를 적용해 검증도 적용이 가능하다.
@RequestBody는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컨버터(HttpMessageConverter)가 JSON 데이터를 해당 객체로 변경하지 못하면 컨트롤러가 호출되지도않고, @Validated를 통한 검증도 진행이 불가능하다.
이를 처리하는 방법은 추후에 포스팅 예정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의 HTTP 요청파라미터 - @RequestParam (0) | 2023.08.17 |
---|